BlogTags
hyeeessencewant chat with me?→
01

Express 서버를 Docker로 빌드하고 EKS에 배포하기

2025. 10. 5.
expressdockerk8shelmECREKS

쉽지 않다.

02

AI를 대하는 나의 자세

2025. 9. 14.
AIdeveloperengineer

하루가 다르게 바뀌는 환경 속에서, 바뀌지 않는 가치는 무엇일까

03

Backend Deep Dive #3: MSA의 환상과 현실: 멀티레포, 공통 코드, 배포 전략까지

2025. 7. 29.
backendmonorepomultirepographQLci-cdmsa

이론을 넘어, 현실의 문제들.

04

패키지 의존성 설계 전략

2025. 4. 14.
npmdependenciessemantic-versioningpackage-management

패키지 개발로 얻은 크고 작은 경험들

05

node_modules 의존성 관리 메커니즘 분석

2025. 4. 3.
node_modulesnpmyarnpnpmphantom-dependencypackage-manager

로컬에선 되는데 배포하면 안 되는 유령 의존성 문제부터 pnpm의 혁신적 해결책까지. node_modules의 모든 것을 파헤쳐봅니다.

06

React 서버 컴포넌트의 스트리밍과 점진적 하이드레이션 분석

2025. 3. 15.
reactserver-componentssuspensestreamingssrperformance

적용해 보고 싶은게 너무나도 많다

07

당신의 React 코드는 if (loading)을 사용하나요?

2025. 2. 21.
reactsuspenseerror-boundaryasyncloadingdeclarative

명령형 로딩 처리에서 선언형 방식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Suspense와 Error Boundary)

08

부수효과(Side Effect)를 최소화해서 모듈을 작성하는 방법

2025. 1. 22.
side-effectsfunctional-programmingmodule-designtestingrefactoring

javascript로 개발하며 내가 항상 고려해야 할 것

09

Backend Deep Dive #2: NoSQL 선택 가이드와 분산 트랜잭션의 해법, Saga 패턴

2025. 1. 16.
backendnosqlmongodbcassandrasaga-patternmsa

데이터베이스를 고르고, 흩어진 데이터를 관리하는 법을 알아본다.

10

Backend Deep Dive #1: Kafka는 왜 유실되지 않았을까? CAP 이론으로 본 메시지 시스템 구조

2025. 1. 15.
backendcapmessage-queueidempotence

Backend Deep Dive 시리즈. 그 첫번째.

11

섀도 DOM 완벽 가이드: 진짜 캡슐화의 세계

2024. 12. 3.
shadow-domweb-componentscss-encapsulationdomfrontend

CSS 마스터가 되어야 할텐데

12

React JSX Transform 실전 가이드

2024. 11. 3.
jsxbabeltypescriptesbuildswcvitewebpack

선택은 당신의 몫! 🐱

13

React JSX Transform 깊이 파헤치기: Classic vs Automatic

2024. 11. 1.
reactjsxtransformperformance

import React 한 줄이 사라졌지만...

14

React 최적화의 미래: React Compiler는 우리를 어디로 이끌까?

2024. 10. 20.
reactoptimizationreact-compiler

React는 어떤 미래를 바라보고 있을까

15

왜 우리는 exhaustive-deps를 빈번하게 사용하게 될까?

2024. 10. 9.
reactuseEffecthooksexhaustive-depseslint

useEffect의 본질은 라이프사이클이 아닌 상태 동기화입니다

16

useMemo와 useCallback, 언제 사용해야 할까?

2024. 7. 13.
reactusememousecallback

React 최적화의 비용과 균형 잡힌 사용법에 대한 고찰

17

무한 렌더링은 왜 발생할까? - React의 렌더링 메커니즘 깊이 이해하기

2024. 7. 6.
reactrenderinginfinite-loopperformancehooks

우리가 개발에서 마주치는 바로 그 에러

18

타입스크립트의 숨겨진 힘: keyof, 조건부 타입, infer 해부하기

2024. 5. 10.
typescriptkeyofinfergenerics

타입스크립트 제대로 써보기

19

any와의 최종 결별 선언: .d.ts 타입 선언 파일 직접 만들기

2024. 4. 28.
typescriptd.ts

나는 typescript를 '잘' 사용하고 있을까?

20

typeof만으로 부족할 때, TypeScript 객체 타입을 어떻게 믿을 수 있을까?

2024. 4. 26.
typescripttype-predicatetype-safety

any를 쓰지 않을 방법을 찾다가 여기까지 왔습니다.

21

왜 나는 이제 any를 쓰지 않기로 했는가

2024. 4. 18.
typescriptanytype-safetyeslintunknowngenerics

TypeScript를 사용하면서 any 타입의 위험성을 깨닫고, 타입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실용적인 해결책을 정리했습니다. any에서 벗어나는 구체적 방법들을 제시합니다.

© 2025 Hyejin Hwang